[기업경제신문 전은아기자] NB-IoT는 수많은 사물인터넷(IoT) 단말을 저전력·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기술이다. 지난해 6월 국제이동통신표준화기구인 3GPP가 국제 표준 규격으로 제정됐다.
삼성전자는 KT와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통신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상반기 중 KT의 NB-IoT 상용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이달부터 기지국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한다. 구형 기지국을 교체하고 NB-IoT 전용 가상화 코어(vCore)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NB-IoT는 기존 4G LTE 대비 100분의 1 수준의 200KHz 대역폭을 사용해 IoT 통신 단말의 배터리 수명은 10년 이상이다. 기존 휴대전화 기지국 커버리지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지국 외에도 산간지역, 지하공간 등 LTE 음영지역에 설치돼 있는 중계기를 통해서도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기지국과 안테나 등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4G LTE 서비스의 주요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서비스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삼성전자가 KT에 공급하는 장비는 주파수 대역과 대역 사이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완충 대역인 ‘가드밴드’를 활용, 기존 LTE 통신 장비에 NB-IoT 서비스를 추가 하더라도 기존 LTE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는 점이 특징이다.
김준근 KT 기가 IoT 사업단장은 “NB-IoT는 저전력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가장 효율적인 기술”이라며 “삼성전자를 포함한 국내외 업체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NB-IoT 생태계를 조성하고 올해 상반기 국내 서비스를 신호탄으로 본격적인 사물인터넷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정진수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전무는 “KT를 포함한 국내외 주요 대형 통신사들이 NB-IoT로 IoT 시장에 뛰어들어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신속하고 안정적인 통신 솔루션을 제공해 IoT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