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사표 던지고 싶을 때 1위 ‘회사 내 나의 미래가 불투명 할 때’

이민영 / 기사승인 : 2013-06-24 09:06: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회사 내에서 상사가 계속 ‘삽질’만 시킬 때, 느닷없이 트집 잡고 폭언까지 할 때, 직장인들은 ‘이제 회사를 그만두어야 할 때인가’하는 퇴직 신호(Fire Signs)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남녀 직장인 911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에서 퇴직 신호(Fire Signs)를 언제 느끼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상사가 업무 관련 지시를 번복하거나, 진행 중인 업무를 갑자기 취소하는 등 ‘삽질’을 시킬 때가 25.4%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근소한 차이로 △나에게 폭언을 일삼거나 뒤에서 험담할 때도 23.7%로 많았다.

이 외에 △감당할 수 없을 분량의 일을 줄때 17.5% △중요한 프로젝트에서 항상 빼놓을 때 13.8% △회사의 중역들 앞에서 공개적으로 망신 줄 때 11.0%△나만 빼고 점심 먹으러 가거나 술자리 잡을 때 1.8% 등의 순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직장생활 중 ‘사표를 던지고 싶게 만드는 요인’에 대해 질문한 결과, 35.9%의 직장인이 △회사 내에서 나의 미래가 불투명 할 때 사표를 쓰고 싶다고 응답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나의 업무 능력이 무시당할 때 15.5%△쥐꼬리만한 월급 15.0% △상사의 끊임없는 참견과 잔소리 11.7%△끝이 보이지 않는 무한반복 야근 9.7% △매일 같이 반복되는 지루한 업무 6.4%△나보다 잘나가는 입사동기 3.3% △지옥 같은 아침 출근길 전쟁 1.3%등의 순이었다.

한편,직장인들이 사표를 쓰고 싶다가도 참게 되는 순간으로는 △월급날이 32.6%로 가장 높았으며,다음으로 △처자식 등 가족이 생각날 때도 24.5%로 많았다.

이 외에 △카드 명세서 받는 날 12.2%△주위 백수 친구들을 볼 때 11.4% △고용한파 관련 뉴스나 기사를 볼 때 11.0%△대출이자 갚는 날 4.6% 등의 순이었다.

잡코리아 김화수 사장은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누구나 한번쯤 사표를 쓰고 싶을 때가 있다.하지만 사표를 던진 후에 자신의 모습은 바로 현실이다”면서 “구체적인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일시적인 감정으로 사표를 던졌다가 후회하거나 자신의 커리어에 오점을 남기게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