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 사회통합센터 출범 및 정책토론회 개최

최정호 / 기사승인 : 2012-07-05 12:0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기업경제신문>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 원장 최병일)은 7월 5일(목) 오전 11시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 36층 벨뷰룸에서 지난 6월 새롭게 신설된 사회통합센터를 소개하고 운영방안에 대해 설명하는 기자간담회 및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최병일 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21세기 들어 세계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사회통합이 새로운 화두로 등장하였으며 우리나라도 사회적 갈등비용이 증가하면서 사회통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며, “앞으로 한국경제가 지속성장하고 그 속에서 국민들이 더불어 행복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갈등비용을 최소화한 사회통합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연구를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라고 사회통합센터 설립의 의의를 밝혔다.

한국경제연구원 사회통합센터의 현진권 초대소장은 현재 사회통합에 대한 정부와 정치권의 인식이 시장에 대한 국가개입 확대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음에 우려를 표하며, 앞으로 우리사회의 사회통합의 방향은‘조세·복지 확대의 정부주도’에서‘자발성·배려에 기반한 민간주도’로 전환하는 등 포괄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경제연구원 사회통합센터는 향후 정부 및 정치권에서 추진 중인 사회통합 정책들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제언 및 대안을 개발하며, 민간영역에서 국민들의 사회통합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확산을 위한 활동을 펴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학계, 전문가 그룹, NGO들과 활발한 네트워킹을 추진하고 동 센터의 연구성과를 일반 시민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한경연 사회통합센터는 기자간담회에 이어 학계, NGO, 기업, 정부 인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한 정책토론회 “왜, 사회통합인가”가를 개최했다. 송복 연세대 명예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정책토론회에서 현진권 초대 소장은 발제를 통해 사회통합의 궁극적인 목표도 결국 경제발전을 위한 것이란 시각이 필요함에 주목하고, 국민들의 자발적인 동참의지 없이는 사회가 발전할 수 없으며 따라서 사회통합의 방향과 정책이 정부주도의 ‘강제적 세금과 권리로서의 복지’에서 ‘가진 자의 자발적인 자선 및 기부’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날 정책토론회의 토론자로는 학계 쪽에서 김호섭 교수(중앙대 정치국제학과/한국정치학회장), 이병혜 교수(명지대 디지털미디어학과), NGO에서 김동흔 사무총장(나눔국민운동본부), 기업에서 김영기 부사장((주)LG CSR), 정부에서 박경배 지원단장(대통령소속 사회통합위원회)이 참여하여 사회통합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개진했다.

[저작권자ⓒ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