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바른미래당 최고위원회의 |
바른미래당의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드러났다. 오신환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3일 오전에 열린 최고위에서 하태경 최고위원의 당 윤리위원회 징계절차 개시에 대해 “최고위원회 재적 과반수인 5인의 찬성으로 송태호 윤리위원장 불신임을 당 대표에 요구한다”고 밝혔다. 오 원내대표는 “지난달 31일, 당 윤리위원회는 윤리위 제소 인사 중 당대표를 비판한 하태경 최고위원만 징계절차에 회부했다”고 말하며 “전임 당대표인 유승민 전 대표를 향해 ‘꼭두각시 데리고 자유한국당을 가라’ 한 이찬열 의원에게는 면죄부를 줬다”고 토로했다.
그는 “윤리위의 이같은 결정은 공정성과 형평성이 결여된 편파적 결정”이라며 “발언 내용과 수위를 고려하면 (하 최고위원과 이 의원은) 별 차이가 없다”고 주장했다. 오 원내대표는 “하 최고위원은 즉각 사과했으나 이 의원은 일언반구 해명도 없다”면서 “두 명의 차이가 있다면 하 최고위원은 당대표를 비판하고 이 의원은 당대표의 최측근이란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의원은 손 대표의 싱크탱크인 ‘동아시아미래재단’ 이사고, 같은 재단 이사장이 송 위원장이다. 손 대표는 상임고문”이라며 “이에 원내대표는 당내 갈등 증폭하는 이같은 편파 결정을 제고해줄 것을 요구한 바 있다”고 밝혔다.
오 원내대표는 “제정호 당 시니어위원장도 ‘하 최고위원만 징계를 논의하는 것은 모순이며, 하 최고위원이 사과한 점을 참작해 결정 철회해달라’고 공개적으로 밝혔다”고 언급했다.
그는 “그러나 송 위원장은 징계절차 강행 뜻을 공공연히 밝히며 이같은 당내 여론을 무시하고 있다”며 “당의 진로에 대한 정치적 입장과 의견이 달라 다툼이 벌어져도 논리대결로 ‘페어플레이’를 해야 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강조했다.
![]() |
▲ 최고위원 회의 후 당대표회의실 앞에서 백브리핑중인 오신환 원내대표 |
그는 “이에 윤리위 규정 11조 등에 따라 최고위 제적 과반수인 최고위원 5인의 찬성으로 윤리위원장 불신임을 당대표에 요구한다”면서 “당대표는 당헌당규에 따라 송 위원장 불신임으로 인한 새로운 윤리위원장 후보를 최고위에 추천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이후 오 원내대표는 본인과 하태경·이준석·권은희·김수민 최고위원의 도장이 찍힌 불신임 요구서를 손 대표에게 전달했다.
![]() |
▲ 최고위원 다섯명이 서명한 불신임 요구서 |
손 대표는 최고위원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불신임 요구서가 접수됐으니 요구서의 법적 타당성을 보겠다"고 밝혔다. 윤리위원회가 유승민·이찬열 의원과 이준석 최고위원은 징계 절차에 착수하지 않고 하태경 최고위원만 징계 절차를 개시한 데 대해 의견을 묻자 "윤리위 결정에 대해 아무런 말을 하지 않겠다"라며 "윤리위가 독립적, 공정한 기구로 결정한다고 봐서 거기에 대해 논평은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혁신위원회에 외부 혁신위원장을 영입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쉽지가 않다. 조만간 좋은 분이 혁신위원장으로 나설 것이라고 본다"라고 했다.
[저작권자ⓒ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